[Spring][JPA] 변경 감지와 병합
준영속 엔티티
식별자(ID)를 가지고 있는 엔티티로써 영속성 컨텍스트가 더는 관리하지 않는것을 말한다. 따라서 해당 엔티티의 속성을 변경해도 변경감지를 통한 update쿼리가 생성되지 않는다.
준영속 엔티티를 수정하는 2가지 방법
- 변경 감지 기능 사용
-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영속상태인 엔티티를 조회한 후에 트랜잭션 안에서 속성을 변경하고 변경 감지 기능을 통해 트랜잭션 시점의 플러쉬로 데이터베이스 UPDATE SQL 실행
- 병합 사용(
merge()
)- 이는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를 영속 상태로 변경할 떄 사용하는 기능이다.
- 파라미터로 넘어온 준영속 엔티티의 식별자 값으로 1차 캐시에서 엔티티를 조회한다.
- 만약 1차 캐시에 엔티티가 없으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엔티티를 조회하고, 1차 캐시에 저장한다.
- 조회한 영속 엔티티( mergeMember )에 member 엔티티의 값을 채워 넣는다.
- 영속 상태인 mergeMember를 반환한다.
- 트랜잭션 커밋 시점에 변경 감지 기능이 동작해서 데이터베이스에 UPDATE SQL 실행
- 변경 감지 기능을 사용하면 원하는 속성만 선택해서 변경할 수 있지만, 병합을 사용하면 모든 속성이 변경된다. 병합시 값이 없으면
null
로 업데이트 할 위험도 있다. (병합은 모든 필드를 교체한다.) save()
메서드는 식별자 값이 없으면(null
) 새로운 엔티티로 판단해서 영속화(persist)하고 식별자가 있으면 병합(merge
)save()
메서드는 식별자를 자동 생성해야 정상 동작한다.@GeneratedValue
사용시 식별자 없이save()
메서드를 호출하면persist()
가 호출되면서 식별자 값이 자동으로 할당된다. 반면에 식별자를 직접 할당하도록@Id
만 선언 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식별자를 직접 할당하지 않고,save()
메서드를 호출하면 식별자가 없는 상태로persist()
를 호출한다. 그러면 식별자가 없다는 예외가 발생한다.
가장 좋은 해결 방법
가급적 변경 감지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트랜잭션 단위인 서비스 계층에 준영속 엔티티의 식별자와 변경할 속성값을 파라미터나 DTO형태로 명확하게 전달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병합의 경우 의도치 않는 변경이나 null
값 주입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