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BS
들어가며Permalink
도커 이미지 빌드시 디스크 용량 부족으로 에러가 발생함에 따라 ec2 디스크 볼륨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기록하기 위한 포스팅
EBS 볼륨이란Permalink
Elastic Block Store의 약자로써 ec2에서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는 블록 수준 스토리지를 말한다. AWS에서는 볼륨이라고 말하는데 EBS로 생성한 디스크 하나하나 저장 단위를 말한다. 볼륨을 하나 생성하여 ec2와 연결하면 하나의 디스크 디바이스가 된다고 볼 수 있으므로 EBS볼륨이라고 한다.
디스크, 파티션, 볼륨, 파일 시스템에 관한 내용은 구글링을 하면 자세하고 다양한 자료를 공부할 수 있다.
디스크 볼륨 사이즈 증가Permalink
df -h
명령어로 현재 파일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다. lsblk
명령어로 디스크와 파티션의 현재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다. AWS에서 볼륨을 8기가에서 16기가로 증가시키고 growpart /dev/xvda 1
명령어로 디스크 용량을 증가시킨다. sudo file -s /dev/xvda1
명령어로 파티션 파일시스템의 유형을 확인하고 xfs_growfs /dev/xvda1
명령어로 파일시스템에 반영한다.
댓글남기기